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연구실

Lab information

해양미생물 생태/생지화학 연구실

연구실 정보

해양미생물 생태/생지화학 연구실
현정호 교수
031-400-5537
제1과학기술관 5층 541호

연구실 소개 내용

연구실 소개

지금까지 알려진 과학적 기록에 의하면, 미생물은 동ㆍ식물이 번창하기 시작한 6억년 전보다 훨씬 전인 약 38억년 전부터 지구상에 나타난 최초의 생명체이다. 미생물은 원시대기에서 시작하여 오늘날 대부분의 생물들이 산소를 호흡하는 생태계가 생성되기까지 끊임없이 지구의 물질순환을 주도해 오늘날과 같은 지구/해양환경을 형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특히, 해양생태계 내에서 미생물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생성된 유기물을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로 전환시켜 대기 중으로 방출하거나, 부영양화/오염이 진행된 연안해양의 수층 및 저층에서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과 많은 오염물질들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지화학적 요인(biogeochemical agent)이다.

해양미생물 생태/생지화학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주변 환경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지구와 해양환경을 바꾸어가는 지를 이해하고, 그와 연관된 미생물의 다양한 기능을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분야
  1. 다양한 해양환경 (연안-대양 및 심해; 열대-극지)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의 다양한 생태기능과 환경요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1) 해양생태계 내 먹이망 구조변화와 생지화학적 물질순환과정에서 미생물의 역할을 이해하고, 2)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생태계 반응과 미생물의 생태적 기능을 규명함
  2. 갯벌, 염습지, 연안 양식장 및 홍수림과 같은 다양한 연안습지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기능, 생지화학적 물질순환 과정 및 저층-수층 생태계 간의 생태연결고리(benthic-pelagic coupling)를 규명하여, 1) 연안환경에서 연안습지의 생태적 기능을 평가하고, 2) 오염(부영양화)된 연안 해양환경의 생태적 기능 평가 및 연안 환경 관리/개선 방안을 제시함
  3. 다양한 분자기법(molecular technique) 및 미생물 배양기술을 이용하여, 1) 생지화학적 물질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 군집(microbial community) 구조를 이해하고, 2) 유용 미생물의 분리 및 이용방법 연구를 통해 오염(독성)물질의 생물정화기술 개발 및 오염된 연안환경의 생태공학적 복원방안을 제시함
수행중인 연구과제 (지원기관)
  • 장기해양생태계 연구(Ⅱ): 환경변화와 생태계 반응 (해양수산부)
  • 동중국해 퇴적물의 유기물 분해, 분해경로 및 조절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생태통합양식(IMTA;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퇴적물 유기물 분해특성 (국립수산과학원)
  • 완도군 전복어장 생산력 모델 인자 조사 (국립수산과학원)
  • 4대강 보 퇴적물 용출 조사 및 평가 -14개 보를 중심으로- (국립환경과학원)
  • 시화호 및 인근 연안해양 퇴적물의 미생물 생지화학 연구 (해양수산부)
  • 남극 아문젠해의 해빙해역에서 수층 미생물 생태 연구 (극지연구소)
  • 남극해 수층 미생물 호흡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조절요인 (극지연구소)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제2과학기술관 1층 103호
TEL
(031) 400 5456
FAX
(031) 400 5457
©2024 한양대학교 - 해양융합공학과. All Rights Reserved.